건강.의료정보/건강정보12 위,대장내시경시 금식 시간표 정리. 물 섭취? 주의사항? 한방에 끝! 위내시경과 대장내시경 검사 시 몇시간 전부터 금식을 시작해야 할까요? 물은 마셔도 될까요? 정확한 결과를 위해서는 식습관과 금식 시간을 잘 지켜야 합니다. 불충분한 준비는 결과의 정확성을 떨어뜨리겠죠. 아래의 내용은 위, 대장내시경 오전 9시 검사 기준으로 적어보았습니다. 금식 시작 시간과 세부 가이드1. 위내시경 금식 • 금식 기간: 위내시경은 검사 8시간 전부터 금식이 필요합니다.위내시경 시 음식물이 남아 있으면 시야가 흐려지거나 검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금식 시간: 검사가 오전 9시라면 전날 오후 11시부터 음식 섭취 금지입니다.• 물은 소량으로 섭취 가능하지만, 검사 2시간 전(오전 7시 이후)부터는 물도 마시면 안 됩니다. 2. 대장내시경 금식 대장내시경은 장을 완전히 비우는 것이.. 2024. 12. 5. 건강검진 결과 A형 간염'음성', 매독'양성(위양성)', 갑성선 결절. 결과해석하기. 건강검진 결과 A형 간염'음성', 매독'양성', 갑상선에 종양이 발견되었다. 양성과 음성, 위양성의 의미를 알아보고, 항체검사에서의 양성과 음성은 어떤 의미인지 알아봅니다. 또한 종양이 발견되었다면 양성종양인지 악성종양인지 반드시 추가 검사를 해야 합니다. 양성(positive)과 음성(negative) 양성과 음성을 확인하는 이유는 질병에 감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건강검진에서 양성이라는 판정은 특정 검사 또는 검진 결과에서 이상이나 질병이 발결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어떠한 검사 결과가 양성이라면 이상이나 질병에 걸렸다고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입니다. 반대로 검사 결과가 '음성'이 나왔다면 코로나에 걸리지 않았다는 것을.. 2024. 5. 7. 뇌졸중(뇌경색,뇌출혈)의 원인과 전조증상 건강검진 시 아버지께서 뇌졸중이 약하게 지나갔다고, 앞으로 10년 이내에 혹시나 쓰러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셨다고 합니다. 뇌졸중은 크게 뇌경색과 뇌출혈로 나뉘며, 뇌졸중의 원인과 초기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뇌경색과 뇌출혈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 그 근처의 뇌 영역이 손상되어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뇌졸중은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색과 혈관이 터져 발생하는 뇌출혈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과성 허혈 발작은 뇌졸중과 따로 분류하는데, 이는 뇌 혈류의 부족에 의해 일시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만, 뇌 조직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회복되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대개 이런 경우 증상 발생 후 24시간 이내 회복됩니다. 뇌졸중 원인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뇌경.. 2023. 3. 21. 혈액검사에서 알 수 있는 간수치. 지방간 원인과 치료. 간의 지방을 제거하거나 간기능을 호전시키는 약물이나 시술은 없습니다. 지방간의 원인을 정확히 알고 치료,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혈액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간 질환과 지방간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지방간 지방간Fatty(change of) liver 정상적인 간에는 지방이 간 무게의 5% 이하로 존재하지만, 그 이상으로 지방이 축적되면 지방간이라고 합니다. 지방 중에서 중성지방(트리글리세라이드)이 간세포에 축척되며, 음식물 드을 통하여 섭취한 지방질을 원활하게 처리하지 못하면 지방간이 발생합니다. 진단/검사 혈액검사로 알 수 있는 간수치 간수치는 AST, ALT, y-GT, 빌리루빈(bilirubin), 알부민(abumin), 프로틴(protein), PT(prothrombin) .. 2023. 2. 2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