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료정보/여성건강

자궁근종의 종류와 수술이 필요한 경우.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장막하근종

by 치과보험청구사 '랄라' 2023. 1. 30.

자궁근종(uterine myoma)은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들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25~30%에서 발견되며, 특히 35세 여성들 중 40~50%에서 발견되는 매우 흔한 양성 종양입니다. 근종의 종류과 증상,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자궁은 방광과 직장 사이의, 여성의 하복부에 위치하는 조롱박 혹은 서양배 모양의 생식기관입니다. 자궁은 내부가 비어 있는 두꺼운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길이는 약 7.5cm, 폭은 약 5cm, 그리고 두께는 약 2.5cm 정도로 사람의 손바닥 정도 크기입니다. 

 

 

자궁근종은 자궁을 감싸는 근육에 생긴 양성 종양을 말합니다. 30~40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 발생하는 종양 중에 가장 흔한 종양입니다. 폐경 이후에는 대게 크기가 줄어들고, 새로운 근종의 발생은 드문 편입니다.  

 

 

자궁근종의 원인은 아직 까지 정확히 알려져 있어 않으나,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장막하, 점막하, 근층 내 근종으로 나뉩니다. 

 

 

자궁근종의 종류

자궁근종의 종류
1) 점막 하 근종(submusous myoma)

'자궁 내부를 향해 자라는 종양'

자궁내막 하층에 발생한 근종으로서 가장 예후가 나쁩니다. 합병증이 가장 많고, 작은 크기로도 출혈의 원이 되기 쉽습니다.
또한 육종변성의 위험이 크고, 감염, 화농, 괴사가 되기 쉽습니다. 방사선 치료에 내성이 있습니다.
자궁 내부를 향해 혹이 튀어나와 자궁내막의 면적을 늘리기 때문에 과다월경의 원인이 되며, 결과적으로 빈혈을 일으기키도 쉽습니다. 또한 수정란의 착상을 방해하여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근층 내 근종(intramural myoma)

'근육 안에서 자라는 종양'

자궁근층 내 깊숙히 위치하는 것으로, 자궁의 크기 자체가 커짐으로써 자궁내막의 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월경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습니다. 

3) 장막 하 근종(subserous myoma)

'자궁 바깥을 향애 자라는 종양'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합니다. 근종이 늘어져서 줄기(pedicle)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습니다.  생리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별다른 증상이 없어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기를 압박할 만큼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방광이나 직장을 압박해 빈뇨, 변비 등을 일으킵니다.
 

 

 

진단

 

진단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골반진찰이 시행될 수 있는데, 대개는 골반진찰 만으로도 자궁이 커진 것을 알 수 있으며, 미세한 자궁근종이 아니라면 그 위치도 예측할 수 있다. 자궁근종의 진단을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초음파검사로 진단 및 치료 경과의 평가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점막하 자궁근종의 진단을 위해선 초음파검사 이외에 생리식염수를 자궁강내에 주입해 가면서 초음파검사를 하는 이른바 초음파 자궁조영술(sonohysterogram)이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외 CT나 MRI 등도 시행할 수 있으나 자궁근종의 일차적인 진단 방법으론 거의 채택되지 않는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

 

자궁 근종의 크기가 크거나 골반 통증, 복부 압박감, 과도한 출혈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면 자궁근종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자궁근종은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경과 관찰만 하거나 월경통이나 월경과다와 같은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약물 요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1. 생리 관련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골반 통증, 복부 압박감, 과도한 출혈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생리가 일어나는 곳이 자궁내막이기 때문에 보통 이곳의 점막하근종은 생리통이나 생리과다, 부정출혈과 같은 증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2. 근종의 크기가 커져서 주변 장기를 압박하는 경우.

근종이 크거나 자궁의 표면에 있는 장막하근종일 경우가 많은데 빈뇨, 변비, 골반통, 요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의 경우 크기와 위치가 중요합니다. 

 

3. 난임을 유발하는 경우.

착상이나 임신의 유지에 영향을 주는 위치, 즉 내막에 영향을 주는 근종인 점막하근종이나 큰 근층 내근종인 경우, 불편한 증상이 있거나 난임을 유발하는 경우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증상이 없더라도 자궁근종의 성장속도가 빠르다면 적절한 시기에 치료해야 하므로, 정기검진시 근종의 위치와 크기를 반드시 기록해 두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