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의료정보/여성건강

임산부 치과치료 시 마취, 엑스레이 안전할까?

by 치과보험청구사 '랄라' 2022. 10. 31.

임신 준비 중이거나 임신 중 치과치료를 받아야 한다면? 마취는 괜찮을까? 엑스레이 촬영은 괜찮을까? 약을 처방받으면 어떻게 하지? 하는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임산부 치과치료에 대한 내용과 할인 혜택까지 잊지 말고 챙겨봅시다.

 

 

임신 중 치과치료를 받을 수 있나요?

 

임신초기 임신 중기 임신 말기
1주 ~ 15주 16주 ~ 28주 29주 ~ 39주

 

임신초기는 착상부터 기관 형성까지의 기간으로  가장 중요하며, 일단 태아기(임신 중기)에 들어가면 그 영향이 대폭 감소합니다.

임신 중기는 태아가 안정기에 접어든 시기이므로 안정기인 임신 중기에 치과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응급 시에는 의료진과 상의 후 치료를 진행하세요! 

 

▶ 안정기인 임신 중기에 치료받으세요! 

 

 

엑스레이 찍어도 될까요?

 

치과치료를 위한 방사선 촬영의 경우 그 노출 양은 우리 일상 중에서도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미미한 방사선으로 태아에게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닙니다.

하지만 임중 중이라면 엑스레이 촬영이 꺼려지는 것이 사실이지요. 

치료시 엑스레이가 꼭 필요한 경우라면 태아의 장기가 형성되는 임신 초기는 피하시고, 임신 중기에 촬영하는 것을 권해드리며, 치과에는 방사선 방어용 특수 납복이 준비되어 있으니 방사선이 복부에 통과하지 못하도록 반드시 납복을 입고 안전하게 촬영하시길 바랍니다. 

 

▶ 납복을 입고 안전하게 촬영하세요! 

 

 

마취를 해도 될까요?

 

 

치과치료를 위한 마취는 국소마취이며, 마취에 사용되는 것은 부분마취제인 염산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입니다.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은 태반을 통과하는 성분이지만 5~10앰플 내에서 정해진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태아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마취제가 들어있는 유리병을 앰플이라고 하는데 치과에서는 보통 치과에서는 1 ~ 1.5 앰플정도를 사용합니다.

안전을 위한 마취 허용 기준인 5 ~10앰플에 훨씬 못 미치는 아주 적은 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태아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치과치료를 받지 않아 치아 통증과 스트레스가 심해진다면 내인성 에피네프린이 생성되어 산모의 혈압을 높이는 등 태아성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마취제 성분 함량이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 국소마취 : 환자의 의식을 잃지 않게 하고, 수술하려는 부위만 무통으로 하는 마취법.

 

▶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다면 태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요! 

 

 


 

임산부 의료비 할인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임신중인 경우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 시 본인부담금 중 2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병원급 : 본인부담금 40% → 20%

의원급 : 본인부담금 30% 10%

 

진료 접수시에 임산부라고 알려주시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