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준비 중이거나 임신 중 치과치료를 받아야 한다면? 마취는 괜찮을까? 엑스레이 촬영은 괜찮을까? 약을 처방받으면 어떻게 하지? 하는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임산부 치과치료에 대한 내용과 할인 혜택까지 잊지 말고 챙겨봅시다.
임신 중 치과치료를 받을 수 있나요?
임신초기 | 임신 중기 | 임신 말기 |
1주 ~ 15주 | 16주 ~ 28주 | 29주 ~ 39주 |
임신초기는 착상부터 기관 형성까지의 기간으로 가장 중요하며, 일단 태아기(임신 중기)에 들어가면 그 영향이 대폭 감소합니다.
임신 중기는 태아가 안정기에 접어든 시기이므로 안정기인 임신 중기에 치과 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응급 시에는 의료진과 상의 후 치료를 진행하세요!
▶ 안정기인 임신 중기에 치료받으세요!
엑스레이 찍어도 될까요?
치과치료를 위한 방사선 촬영의 경우 그 노출 양은 우리 일상 중에서도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의 미미한 방사선으로 태아에게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닙니다.
하지만 임중 중이라면 엑스레이 촬영이 꺼려지는 것이 사실이지요.
치료시 엑스레이가 꼭 필요한 경우라면 태아의 장기가 형성되는 임신 초기는 피하시고, 임신 중기에 촬영하는 것을 권해드리며, 치과에는 방사선 방어용 특수 납복이 준비되어 있으니 방사선이 복부에 통과하지 못하도록 반드시 납복을 입고 안전하게 촬영하시길 바랍니다.
▶ 납복을 입고 안전하게 촬영하세요!
마취를 해도 될까요?
치과치료를 위한 마취는 국소마취이며, 마취에 사용되는 것은 부분마취제인 염산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입니다.
리도카인과 에피네프린은 태반을 통과하는 성분이지만 5~10앰플 내에서 정해진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태아에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마취제가 들어있는 유리병을 앰플이라고 하는데 치과에서는 보통 치과에서는 1 ~ 1.5 앰플정도를 사용합니다.
안전을 위한 마취 허용 기준인 5 ~10앰플에 훨씬 못 미치는 아주 적은 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태아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확률은 극히 낮습니다.
치과치료를 받지 않아 치아 통증과 스트레스가 심해진다면 내인성 에피네프린이 생성되어 산모의 혈압을 높이는 등 태아성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마취제 성분 함량이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안심하고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
* 국소마취 : 환자의 의식을 잃지 않게 하고, 수술하려는 부위만 무통으로 하는 마취법.
▶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다면 태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요!
임산부 의료비 할인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임신중인 경우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료 시 본인부담금 중 20%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병원급 : 본인부담금 40% → 20%
의원급 : 본인부담금 30% → 10%
진료 접수시에 임산부라고 알려주시면 됩니다.
'건강.의료정보 > 여성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근종 로봇수술 후기(비용,회복기간,보호자 면회 등) (2) | 2023.03.09 |
---|---|
자궁근종의 종류와 수술이 필요한 경우.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장막하근종 (0) | 2023.01.30 |
사후피임약 복용시간이 중요한 이유! 비대면처방 어플소개 (0) | 2022.12.19 |
자궁경부암 검사 받으면서 보험가능한 자궁초음파도 함께 받아요! (0) | 2022.12.14 |
임신 중 고혈압 판정을 받았다면. 혹시 나도 임신중독증? (1) | 2022.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