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과보험청구/기타

차상위 자격 불일치로 지급불능된 금액 보완청구로 챙겨가세요!

by 치과보험청구사 '랄라' 2023. 2. 16.

심평원 심사결과통보서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차상위 불일치로 지급불능 된 명세서 확인은 어디서 해야 할까요? 보완청구 기간은 언제까지 인가요? 지급불능된 명세서 확인 방법과 보완청구 방법까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합시다. 

 

 

 

 

차상위 불일치 확인방법

 

1. <요양기관업무포털> - 로그인 - 진료비 청구 - 미청구 자료조회(불능건)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요양기관정보마당> 로그인 - 요양급여 - 차상위자격불일치 반송내역

 

 

 

 

<심평원 요양기관 업무포털>에서 조회되지 않았던 지급불능 내용이 , <요양기관정보마당>에서 조회 시 확인된 적이 있어서 저는 <요양기관정보마당>에서 정확히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요양기관정보마당에서는 연 단위로 조회가 가능해 보다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평원에서는 접수된 청구내역을 산정기준에 맞게 잘 청구하였는지 심사하는 기관이고, 심평원 심사 후 심사결과통보서가 건강보험공단으로 인계되어 공단에서 자격점검을 하게 됩니다. 수진자 자격 관련 내용은 요양기관정보마당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보완청구하는 방법

 

1. 해당 월의 접수번호와 지급불능코드를 미리 메모해 둡니다.

2. 프로그램에서 지급불능 처리된 수진자의 요양개시일자 자격조회를 다시 합니다. 

- 자격구분이 차상위로 변경된 것을 확인합니다. 

3. 보험청구 조회에서 해당 월 설정 후 청구구분[보완청구] 공단불능에 체크표시하여 조회합니다.(아이프로) 

4. 접수번호와 사유코드 입력 후 청구합니다. 

<아이프로>

 

 

▶ 차상위불일치로 [지급불능]이 된 것은 [보완청구]를 해야 합니다.

 

보완청구는 원청구에서 반송된 것이 아닙니다. (반송 : 심사에서 제외)

지급불능은 심사에서는 문제가 없이 통과되었지만 수진자의 자격이 맞지 않아(진료비착오)  공단에서 차상위불일치로 지급불능으로 처리한 것이기 때문에 보완청구를 해야 합니다. 

 

▶ 보완청구는 요양개시일(진료일)로 부터 3년까지 청구가 가능합니다. 

 

▶ 지급불능코드 :35(심가결과 통보 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지급불능건)

     세부코드 : 84(차상위 자격 불일치)

 

 

 

다 퍼주는 치과보험청구사 '랄라'

 

 


 

보험임플란트는 명세서가 다르다고?
누락청구? 추가청구? 무엇으로 해야 할까?

 

사례를 통해보는 보험임플란트 추가청구, 누락청구, 재심사(심평원에서도 몰랐던 반송사유)

심사결과 통보서가 나온 후 청구에 오류가 생긴 것을 알게 되었을 때, 추가청구를 해야 할지, 누락청구를 해야 할지, 재심사를 해야 할지 고민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례를 통해 보험 임플란

hchhmm.tistory.com

 

 

 

보험임플란트 일체형도 보험이 된다?

 

 

보험임플란트 보험적용 기준 정확히 알기. 일체형도 보험이 된다?

보험 임플란트 보험적용 기준과 65세 이상이라도 보험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유지관리와 재등록방법, 처방전 발급 시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일체형 어버트먼

hchhmm.tistory.com

 

 

 

근관치료 적정성 평가 알고 계시나요?

 

 

근관치료 적정성 평가까지 알고 신경치료 청구하기!(기초탄탄!)

2023.08월 근관치료 적정성평가 2차 결과가 공개될 예정입니다. 근관치료 적정성 평가 항목에는 무엇이 있으며, 근관치료의 정확한 산정기준에 대해 알아봅시다. 또한 근관치료와 동시 시행하는

hchhmm.tistory.com

 

 

 

 

 

댓글